“몸과 춤” (20집)
“아르누보(Art Nouveau)적 관점에서 본 로이 풀러(Loie Fuller)의 예술 성향에 관한 연구” (25집)
“영화 「자유부인」에 표현된 춤의 사회적 인식에 관한 고찰 - 1950년대 서울을 중심으로-” (28집)
“Study on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Newly Arts Dance" (59집)
"미술관, 박물관의 신체표현 중심 통합 예술교육 프로그램 탐색" (64집)
"초등학교 표현활동의 무용 감상활동 분석" (73집)
"재난에 대한 신체심리적 위기 개입의 요소 고찰" (85집)
"동시대 서양 발레단의 사회적 전환 탐색" (90집)
"교직 사회와 트라우마: 춤 제작 및 공연을 통한 공감과 치유성에 관한 사례연구" (94집)
“북한의 자모식 무용 표기법에 관한 연구” (9집)
“무용의 초기 현대화 과정에 나타난 인상주의 예술사조의 영향” (12집)
“20세기 초 무용에 나타난 팜므 파탈(femme-fetale)에 관한 연구” (14집)
“「심청」에 나타난 ‘한국적 발레’의 정체성에 대한 연구” (16집)
“한국 무용비평계 연구 - 등단과정과 활동을 중심으로-” (21집)
“스피노자(B.Spinoza)의 심신일원론에 근거한 무용예서의 신체와 표현의 의 미” (24집)
“발레 「호두까기 인형」의 변천에 따른 사회문화적 의미” (29집)
“춤 공연에서 재현된 젠더적 신체가 갖는 의미 - 빌 티 존스의 「고스트캐칭 Ghostcatching」을 중심으로-” (34집)
“마츠에크(Mats Ek)의 작품구조에 대한 분석과 해석-「웻 워먼 Wet Woman」을 중심으로-” (35집)
“무용전문인력 재교육에 관한 고찰” (43집)
“「댄싱 9」 시즌 2의 언어적 표현 내용을 통해 구성된 경쟁에 대한 내용 분석” (51집)
“비디오 댄스로서의 뮤직 비디오가 취하는 안무전략에 대한 고찰” (56집)
“문화정책 이념에 따른 프랑스 무용의 발전양상” (58집)
"대학교 무용학과 교과과정 내 다문화 무용 교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64집)
"Interfaces between Physical and Virtual Bodies in Merce Cunningham's BIPED" (70집)
"작법무에 현시된 이념과 숭고미-칸트의 숭고미 분석에 기초하여" (73집)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백조의 호수」상징 연구 -C. G. Jung의 원형이론을 중심으로-" (77집)
"청소년 정신건강을 위한 VR 세계에서 무용/동작치료 핵심요인 탐색" (84집)
"Dance Improvisation as Intertwining of Present and Past as Endless Kinaesthetic Transformation" (85집)
"실용무용에서 ‘코레오그래피’의 개념과 현재적 쟁점" (93집)